역대포럼

[2020 세계인권도시포럼] 지방정부와 인권 - 인권도시를 다시 상상하다

WORLD HUMAN RIGHTS CITIES FORUM 2020

개요




행사개요

  1. 기간: 2020. 10. 7. ~ 2020. 10. 10.
  2. 장소: 김대중컨벤션센터
  3. 주제: 기억과 공동체 - 인권도시의 미래  
  4. 주최: 광주광역시, 유네스코(UNESCO), 유엔인권최고대표사무소(UN OHCHR), 광주광역시교육청, 한국국제협력단(KOICA)
  5. 주관: 광주국제교류센터, 세계지방정부연합 사회통합참여민주주의인권위원회(UCLG-CISDP), 스웨덴 라울발렌베리인권연구소


세계인권도시포럼 발자취

  1. 세계인권도시포럼은 2011년 제 1회 포럼을 개최한 이래로 인권도시의 의미를 정립하고, 광주인권도시선언을 통해 인권도시 실천 원칙을 제시했습니다. 또한 지방정부, 시민사회단체, 인권전문가 등 다양한 인권실천 주체들과 협력하면서 ‘인권의 지역화’라는 목표를 뚜렷이 해왔습니다.
  2. 지난 10년간 세계인권도시포럼은 지방정부의 인권보호와 증진의 책무를 강조하면서, 인권담론을 확산시키고, 국제사회가 함께 실천해야할 인권도시 실행규범과 과제를 만들고 이를 효율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했습니다. 포럼은 세계 각국의 지방정부 관계자 및 인권전문가들, 그리고 인권 증진에 노력해 온 시민들의 활발한 참여를 통해 빠르게 성장해왔습니다. 제10회 포럼부터는 유엔 인권최고대표사무소와 유네스코 본부가 공동주최기관으로 새롭게 참여하면서 포럼의 내용과 진행 방식은 새로운 전기를 맞고있습니다.


제10회 세계인권도시포럼 목표 및 주제

  1. 인권보호와 증진을 위해 노력하는 세계 여러 나라의 인권도시들은 다양한 역사적·문화적 배경 속에서 인권도시의 길을 걸어왔습니다. 먼저, 시민들이 국가폭력에 맞서 대항하면서 민주주의를 발전시키는 과정을 통해 인권도시로 성장한 경우가 있습니다. 반대로, 식민지 지배의 역사 또는 소수민족에 대한 억압의 역사를 반성하면서 인권 신장을 위해 노력하는 시민들에 의해 인권도시로 발전한 사례도 있습니다. 인권과 관련한 특별한 역사적 배경이 없이도, 인류의 보편적 가치인 인권을 향상시키려고 노력하는 시민들에 의해 포용도시로 발전해 온 많은 사례도 있습니다. 앞으로도 인권도시는 다양한 방식과 유형을 통해 각 지역에서 성장해 나갈 것입니다.
  2. 2020년은 세계인권도시포럼이 10년째가 되는 해이자, 오늘의 인권도시 광주를 있게 한 5·18 민주화운동이 40주년을 맞는 해이기도 합니다. 광주 시민들은 지난 40년 동안 국가폭력으로 인한 고통의 기억을 망각하지 않고, 이를 인권 공동체를 향한 열망으로 승화시켜 왔습니다.
  3. 제10회 세계인권도시포럼이 주목하는 것은 인권도시의 시간적 구성입니다. 과거-현재-미래라는 연속된 시간의 흐름 속에서 과거의 인권 역사를 성찰하고, 인권의 현재를 진단하며, 인권도시의 미래를 기획하는 것이야말로 인권도시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길입니다.
  4. 제10회 세계인권도시포럼은 '기억과 공동체: 인권도시의 미래’라는 주제를 통해 다음과 같은 질문에 대한 답을 구하고자 합니댜.
    - 첫째, 과거의 역사적 기억과 유산을 인권교육의 주요 자원으로 활용하고, 이를 통해 미래인권도시로 계승· 발전해 나갈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
    - 둘째, 인권도시가 지역사회의 모든 사람들의 인권을 증진시키는 과정에서 직면할 수 있는 새로운 도전과 과제는 무엇인가?
    - 셋째, 지역과 글로벌 자원에서 보다 강력한 인권도시를 만들기 위해 시민, 지방정부, 시민사회 등 인권 주제들의 책무와 연대를 어떻게 강화할 것인가?


프로그램 구성

  1. 네 차례 열리는 전체회의를 통해서 우리는 다양한 역사적 배경을 가진 인권도시들이 모여 인권에 기반을 둔 ‘좋은 도시’를 만들기 위한 경험과 노력을 나누고자 합니다. 전체회의 1에서 지방정부 대표들은 각 도시의 역사적 기억과 경험을 통해 보다 안전하고 포용적인 인권도시를 만들어 온 전략과 앞으로의 비전에 대해 논의할 것입니다. 온라인으로 진행되는 전체회의 2는 전 세계적인 인권도시 운동과 그 창조적 가능성을 확대하기 위해 인권도시 시장단들이 국제적 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선언할 것입니다. 전체회의 3에서는 인권도시들의 코로나 19 위기 상황에서 가장 중요한 인권 도전과제를 논의하고 현 위기를 헤쳐 나가는데 도움이 된 관련 정책들을 공유하여 현재의 인권상황을 점검하고 미래 인권도시를 향한 협력방안을 모색할 것이며, 전체회의 4에서는 코로나 19에 대처하는 아시아 지역 지방정부의 경험을 공유하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보다 포용적이고 회복력 있는, 그리고 지속가능한 도시를 만들기 위한 인권기반 접근법을 온라인을 통해 논의할 것입니다.
  2. 주제회의는 노인, 여성, 장애, 어린이·정소년, 이주민 등 사회적 약자를 포함한 모든 시민들을 위한 평등의 원칙 속에서 인권 이슈를 점검하고 인권 개선 과제를 논의합니다. 또한, 우리는 인권에 헌신하는 주요 실천 주제들을 잦아내고 이들이 보다 역동적으로 활동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논의할 것입니다. 우리는 사회적 약자와 소수자의 인권을 보호하고 증진하는 것이 세계 곳곳의 민주주의를 강화하고 확대하는 길이라는 것을 확신할 수 있을 것입니다.
  3. 국가폭력에 관한 세션은 올해 포럼의 주제를 상징적으로 보여줍니다. 5·18민주화운동 40주년을 기념해 국가폭력으로 인한 고통과 갈등의 기억을 갖고 있는 도시들이 모여 과거의 기억을 인권과 민주주의로 극복하고 승화시켜낸 과정을 논의합니다. 또한 세계인권도시포럼의 지난 10년을 평가하고 발전방향을 논의하는 한편, 유네스코 포용및지속가능도시국제연합(ICCAR) 네트워크와 그 지역 네트워크인 아태지역 차별반대도시(APCAD)와 협력하는 방법을 모색할 것입니다.
  4. 인권교육회의는 지난 5월부터 아시아 지역 지방정부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인권교육 및 프로젝트를 진행한 ‘지방정부와 인권 종합교육과정’과 광주 국제인권교육센터 개관을 위한 정보 및 전문지식을 공유하고 국제협력 증진 방안을 논의하는 ‘국제인권교육센터 워크숍’이 진행될 예정입니다.


주최, 주관 및 평가

  1. 제10회 세계인권도시포럼은 광주광역시, 유엔인권최고대표사무소, 유네스코, 국가인권위원회, 광주광역시 교육청, 한국국제협력단이 공동주최합니다.
  2. 광주국제교류센터와 세계지방정부연합 인권위원회 그리고 라울발렌베리 인권연구소가 함께 주관합니다.
  3. 포럼은 UCLG-ASPAC, 인도네시아 개발 국제 NGO포럼(INFID) 등 약 40여개 국내외 기관과 긴밀하게 협력하여 다양한 회의 및 행사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2019년에는 48개국 131개 도시에서 2,100여명이 참여하였고 2020년 제 10회 세계인권도시포럼에는 전 세계에서 훨씬 더 많은 참가자들이 함께하기를 기대합니다.




프로그램


구분행사프로그램
공식행사- 개회식
- 폐회식
전체회의- 전체회의 1 : 인권도시: 역사적 경험을 통한 사회적 불안정 해소
- 전체회의 2 : 인권도시 시장단 회의: 세계인권도시 운동의 미래
- 전체회의 3 :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지방정부: 공공 서비스와 인권과제
주제회의- 사회적 경제 : 사회적 경제의 지속가능성: 공동체 정신을 중심으로
- 환경 : 핵발전소와 인권
- 노인 : 국가폭력 피해 노인의 삶과 기억, 그리고 공동체
- 장애 : 기억하자 저항의 주체들! 나아가자 차별 없는 미래로!
- 여성 : 북경행동강령+25주년, 이행성과와 과제
- 어린이청소년 : 공동체, 시민, 그리고 청소년 정치참여
- 안전도시 : 국제안전도시와 평생학습의 역할
- 이주민 : 5·18과 이주민, 인권도시 미래
특별회의- 도시권 : 도시의 문제를 인권적 맥락에서 해결하기 위한 대책 논의
- 국내 기억도시 네트워크 : 전환기적 정의실현을 위한 지방정부 네트워크
- 글로벌 청년 주거권 회의 : COVID-19 시대의 글로벌 주거권 현황 분석 및 청년 맥락에서의 재정의
- 국가폭력과 트라우마 : 국가폭력, 트라우마, 그리고 치유적 관점에서 이행기 정의
- 인권논문발표 : 인권도시와 지속가능한 개발: 미래를 위한 포용적이고 지속가능하며 기후에 대처하는 건강한 도시 건설의 역사적 발전과 현재 과제
- 해외인권정책회의 : 투명성과 책임감을 통한 2030 아젠다, 민주주의와 인권 증진을 위한 도시의 역할
- 인도네시아 인권도시 회의 : 인권도시 및 폭력적 극단주의 예방 논의
- 세계인권도시포럼 10년 평가회의 : 포럼 10년 주요성과 평가 및 국내외적 발전방향 모색
네트워크 회의- 국내인권도시 인권옹호자 워크숍 : 지역주민과 함께 하는 인권조례 제정과 인권교육- 서울특별시 금천구 사례를 중심으로
- 전국 광역자치단체 인권위원회 협의회의 : 인권조례를 통한 지역인권위원회의 위상과 역할
- 차별금지 회의 : 혐오차별의 극복과 민주인권 가치의 실현, “차별금지의 법제화”로
- UN 지속가능발전목표와 인권 : SDGs와 인권 통합 이행점검체계 구축 방안
- 인권활동가 네트워크 워크숍 : 배제되고 삭제된 사람들의 이야기
- UNESCO-APCAD 워크숍 : UNESCO-APCAD 소개 및 회원도시 간담회 진행
- UNESCO-ICCAR 글로벌 운영위원회의 : ‘포용 및 지속가능도시 국제연합’의 7개 지부 대표인 운영위원간 회의
- 타운홀 : 아시아 지역 시민사회와 지방정부간 대화 및 논의
- 인권도시 확산 프로젝트 워크숍 : 인권도시 확산 프로젝트 제안에 대한 논의
인권교육 회의- ‘지방정부와 인권’ 종합교육과정 프로그램 : 인권법 소개, 인권 메커니즘, 인권도시와 지속가능발전 등을 논의
- 국제인권교육센터 워크숍 : 지역별 국제인권교육센터 및 교육네트워크 운영전략 모색




사진





영상


[The 10th WHRCF]

전체회의 3

[The 10th WHRCF]
국내인권도시 인권옹호자 워크숍
[The 10th WHRCF]

차별금지 회의

[The 10th WHRCF]

인권활동가 네트워크 워크숍

[The 10th WHRCF]

타운홀

[The 10th WHRCF]

UN 지속가능발전 목표와 인권

[The 10th WHRCF]

국내 기억도시 네트워트

[The 10th WHRCF]

사회적경제

[The 10th WHRCF]

어린이청소년

[The 10th WHRCF]

여성

[The 10th WHRCF]

안전도시

[The 10th WHRCF]

노인

[The 10th WHRCF]

환경

[The 10th WHRCF]

이주민

[The 10th WHRCF]

장애




2020 세계인권도시포럼 프로그램북

첨부파일을 다운받으셔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세계인권도시포럼 사무국
(61475) 광주광역시 동구 중앙로 196번길 5(금남로3가) 1-2층 광주국제교류센터
Tel: 062-226-2734 │ Fax: 062-226-2731 │ E-mail: whrcf@gic.or.kr
Copyright 세계인권도시포럼 All rights reserved.

세계인권도시포럼 사무국
(61475) 광주광역시 동구 중앙로
196번길 5(금남로3가) 1-2층 광주국제교류센터
Tel: 062-226-2734
Fax: 062-226-2731
E-mail: whrcf@gic.or.kr
Copyright 세계인권도시포럼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