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행사개요- 기간: 2019. 9. 30 ~ 2019. 10. 3.
- 장소: 김대중컨벤션센터
- 주제: 지방정부와 인권 - 인권도시를 다시 상상하다.
- 주최: 광주광역시, 광주광역시교육청, 국가인권위원회, 한국국제협력단(KOICA)
- 주관: 광주국제교류센터, 세계지방정부연합 인권위원회
- 해외협력: United Nations Human Rights, Raoul Wallenberg Institute, United Cities and Local Governments Asia-Pacific, UNHABITAT, InstitutoPolis, Habitat International Coalition, Global platform for the Right to the City, INFID, KOTAKITA, ADA, Asia Democracy Network, aepf, KOMNAS HAM
- 협력주관: 광주전남연구원, 전남대학교 공익인권법센터, 광주환경운동연합, 광주장애우권익문제연구소, 광주장애인차별철폐연대, 한국노인의전화광주지회, 한국노인의전화, 한국노인의전화광주지회 광주남구 시니어클럽, Gsef, 광주사회적경제지원센터, 다문화평화교육연구소, 광주외국인노동자센터, 사단법인 이주가족복지회, 공간 엘리사벳, 다누리 콜센터 광주, 광주이주민건강센터, 광주·전남여성단체연합, 전남대학교 5·18 연구소, 지역공공정책플랫폼 광주로, 광주광역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전국지속가능발전협의회, 한국지속가능발전센터, 광주관광컨벤션뷰로
- 후원 : 교육부, 외교부, 법무부, 유네스코한국위원회, APCEIU, 한국관광공사,아모레퍼시픽
|
WORLD HUMAN RIGHTS CITIES FORUM 2019
개요
행사개요
컨셉노트
제9회 세계인권도시포럼 배경 및 개요
주제 및 국내, 국제적 맥락
목적과 방향성
- 첫째, 지역차원에서 효과적이고 실질적인 인권보호체제를 어떻게 강화할 것인가?
- 둘째, 지역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인권의제와 실천은 어떻게 재구성되어야 하는가?
- 셋째, 지구적 차원의 다층적인 인권연대는 어떻게 구축되어야 하는가?
이를 통해 시민의 개개인의 인권을 실질적으로 증진할 수 있는 인권제도와 장치를 다시 설계하고, 국제기구-지방정부-NGO-시민이 함께 실천할 수 있는 인권의제와 연대의 방안을 찾아보고자 합니다.
의제와 프로그램 구성
주최․주관기관 및 참가단체
프로그램
- 환영만찬
- 폐회식
- 전체회의 Ⅱ : 인권도시의 도전과 기회
- 사회적경제
- 장애
- 여성
- 이주민
- 환경
- 어린이 · 청소년
- 안전도시
- 노인
- 국가폭력
- 인권도시 2030 의제 워크숍 Ⅱ
- 지속가능 인권도시 실현을 위한 혐오차별 대응전략
- 주거권 회의 Ⅰ
- 주거권 회의 Ⅱ
- 도시권 회의
- 아시아 인권도시연구 워크숍 Ⅰ
- 해외인권정책회의
- UN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와 인권
- 인권도시와 SDGs: 인도네시아 사례
- 국제분과 자문회의
- 인권활동가 네트워크
- 국내인권도시 인권옹호자(공무원) 워크숍
- '지방정부와 인권' 종합교육과정 프로그램 Ⅰ
- '지방정부와 인권' 종합교육과정 프로그램 Ⅱ
- 인권논문발표 Ⅱ
- 인권논문발표 Ⅲ
- 네트워킹파티
- 인권토론그룹
- 문화탐방 Ⅰ,Ⅱ,Ⅲ
- 문화탐방 Ⅳ
- UN OHCHR 보고서 전시 '지방정부와 인권'
- 전시:인권마을 한 바퀴
- '인권의 눈으로 세상을 보라 - If You Were Me' 전시
- 체험프로그램:인권도시 컬러링 체험 "Color Your Rights"
- 유엔인권최고대표사무소(UN OHCHR) 직원과의 만남
- 사회적경제 연계프로그램
- 여성 연계프로그램
- 장애 연계프로그램
- 환경 연계프로그램
- 어린이청소년 연계프로그램
- 유엔난민기구 캠페인
사진
2019 세계인권도시포럼 프로그램북
첨부파일을 다운받으셔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