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행사개요- 기간: 2018. 10. 18. ~ 10. 21.
- 장소: 김대중컨벤션센터
- 주제: 우리는 누구와 살고 있는가? - 다양성, 포용 그리고 평화
- 주최: 광주광역시, 광주광역시교육청, 국가인권위원회
- 주관: 광주국제교류센터, 세계지방정부연합 인권위원회
- 해외협력: 유엔인권최고대표사무소, 라울발렌베리인권연구소, 아시아 민주주의 네트워크, 유엔인권이사회, 아시아개발연대
- 협력주관: 주한스웨덴대사관, 광주전남연구원, 한국인권학회, 한국인권재단, GSEF, 전남대학교 공익인권법센터, 지역공공정책플랫폼 광주路, 광주환경운동연합, 광주장애우권익문제연구소, 광주장애인차별철페연대, 한국노인의전화광주지회 광주남구 시니어클럽, 다누리콜센터 광주, 광주광역시교육청 민주인권교육센터, 다문화평화교육연구소, 광주외국인노동자센터, 사단법인 이주가족복지회, 광주이주민건강센터, 광주·전남여성단체연합, 전남대학교 5·18연구소, 광주트라우마센터, 광주사회적경제지원센터, 북구다문화가족지원센터, 공간엘리사벳, 광주인권지기활짝, (사)광주여성인권지원센터
- 후원: 외교부, 법무부, 교육부, 유네스코한국위원회, APCEIU, 한국국제협력단, 아모레퍼시픽, 보해양조
|
WORLD HUMAN RIGHTS CITIES FORUM 2018
개요
행사개요
컨셉노트
제8회 세계인권도시포럼 배경 및 개요
2018년 세계인권도시포럼(WHRCF 2018, 이하 2018 광주포럼)은 2011년 5월 열린 제 1회 국제인권도시네트워크에서 채택된 광주 인권도시선언문의 인권도시 비전을 실현하 기 위하여 매년 대한민국 광주에서 열리는 국제포럼입니다. 세계인권도시포럼을 통해 37년 전 국가폭력으로 수천 명의 무고한 시민들이 희생된 5․18광주민주화운동의 정신과 1998년 광주에서 선포된 아시아인권헌장의 가치를 국내외적으로 계승 발전시켜 나가고 있습니다.
2011년 광주 인권도시선언문에서 정의한 인권도시는 ‘인권이 근본적인 가치와 지침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지역공동체이며 사회정치적 과정’입니다. 현재 광주 포럼은 국내외 인권도시 대표단과 인권전문가, 인권 관련 NGO, 언론인 및 시민들이 참여하여 일상의 삶터에서 시민들의 인권을 실질적으로 보장하는 실효성 있는 제도를 마련하고 그 실천 을 모색해 나가는 대표적인 인권도시포럼으로 자리매김하였습니다.
광주 포럼에는 지난 6년 동안 159개국에서 392명의 해외 발표자가 참여하였고, 국내를 포함하면 928명에 이릅니다. 패트리샤 개틀링 뉴욕시 인권위원회위원장, 강경화 UN인 권최고대표사무소 부대표, 게타츄 엔기다 유네스코 사무부총장, 마리아 자라테 국제주거 연맹 대표 등 수많은 국내외 대표적인 인권전문가들이 광주포럼에서 자신의 전문성과 경험을 나누었습니다.
광주 포럼을 비롯한 국제인권사회의 노력으로 2015년 9월 UN인권이사회 자문위원 회는 ‘인권증진과 보호를 위한 지방정부의 역할에 대한 보고서’에서 지방정부 또한 국가와 함께 인권존중과 보호에 책임이 있음을 강조하고, 특히 시민들과 연관성이 깊은 교육, 건강, 주거, 환경, 법과 질서, 식수권 등을 보장하기 위한 중요한 책임자임을 강조하였습니다. 광주포럼은 앞으로도 UN인권이사회 보고서의 권고안을 효과적으로 이 행하기 위하여 UN인권이사회 차원의 ‘지방정부와 인권 가이드라인’을 만들기 위한 노 력을 꾸준히 해나갈 것입니다.
2018 광주포럼은 2018년 9월 14일부터 17일까지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3박 4일간 열립니다. 포럼에는 인권도시를 추구하는 도시의 관계자들을 비롯해서 UN인 권전문가, 세계지방정부연합 인권위원회 관계자, 세계지방정부연합 아태지부 관계자 및 회원도시, 인권 관련 비정부기구(NGOs), 지방의회, 학계 인사들과 인권도시 관 계자 등 1천여 명의 국내외 인사들이 참석할 예정입니다.
주제 및 국내,국제적 맥락
광주정신은 지난해 10월 에콰도르 키토에서 열린 UN정주권회의의 주요 도시의제 중 하나인 ‘포용도시’의 개념과 맞닿아 있습니다. 올해 이러한 역사성을 가진 광주에서 평 화와 성숙한 시민 참여민주주의를 어떻게 실천해 나갈 것인지 모색하는 자리를 마련하 게 되어 뜻 깊게 생각합니다.
목적과 방향성
의제와 프로그램구성
주최, 주관기관 및 참가단체
프로그램
- 오프닝 및 라운드테이
- 폐회식
- 전체회의 Ⅱ: 스웨덴 인권정책
- 사회적경제와 공동체 활성화
- 도시와 노인
- 도시와 어린이청소년 교육
- 민주주의와 마을
- 장애와 인권
- 도시와 환경
- 이주민·난민과 인권
- 국가폭력과 인권
- 지방정부와 인권 가이드라인 전문가 회의
- 광역 인권도시 공무원 네트워크
- 광역 인권도시 인권위원회 네트워크
- 인권논문 공모전
- 아고라
- 토론그룹
- 인권문화탐방 Ⅱ
- 인권문화탐방 Ⅲ
- 인권현장탐방
- 네트워킹파티
사진
2018 세계인권도시포럼 프로그램북
첨부파일을 다운받으셔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